[월간소묘: 레터] 4월의 편지 ‘Now or Never’

2022-03-11T16:47:57+09:002021-04-28|

  “나를 위해 꽃 한 다발 사는 일이에요.”   좀처럼 잊히지 않는 말들이 있습니다. 이달의 책 저자인 이경신 선생님과 함께한 ‘좋은 삶을 위한 죽음 준비 워크숍’에서 버킷리스트를 작성하고 이야기하던 시간, 70대 여성 분이 남긴 말이에요. 그 말을 듣자마자 모두가 탄식을 내뱉으며, 지금! 지금 하실 수 있어요, 돌아가는 길에 꼭 사세요, 한 마음으로 응원하던 것까지 오롯이 기억하고 있습니 ...

[월간소묘: 레터] 3월의 편지 ‘Little Forest’

2022-03-11T16:48:15+09:002021-03-29|

  “모든 온기가 있는 생물은 다 의지가 되는 법이야.” -영화 <리틀 포레스트>(한국판)   3년 전 이맘때 영화 <리틀 포레스트>가 개봉했어요. 그리고 주연인 김태리 배우가 3월 1일 뉴스룸에 출연해, 당신의 리틀 포레스트는 무엇이냐는 질문에 ‘고양이들(반려묘)’이라고 대답했죠. 저는 그 순간 환호하며 영상을 사진으로 찍고 박수를 쳤답니다.(‘오후의 소묘’의 소묘가 ...

[월간소묘: 레터] 2월의 편지 ‘걸음걸음’

2022-03-11T16:48:33+09:002021-02-28|

  “걸어가는 사람이 바늘이고 걸어가는 길이 실이라면, 걷는 일은 찢어진 곳을 꿰매는 바느질입니다. 보행은 찢어짐에 맞서는 저항입니다.” -리베카 솔닛, <걷기의 인문학>   몸은 녹슨 기계 같고 바깥은 산화를 촉진하는 위협적 환경같이 느껴지는 때, 찢어진 것은 무엇일까. 갈수록 묵직하고 크게 다가오는 물음을 앞에 두고 작은 것들을 생각합니다. 나의 한 걸음, 한 걸음을요. &nb ...

[월간소묘: 레터] 2021년 첫 편지 ‘얼굴들’

2022-03-11T16:49:12+09:002021-01-25|

  연말연시의 어느 오후, 지하철에서 옆자리에 한 중년 남성이 앉았습니다. 역을 출발하자마자 울리는 전화벨 소리. 그가 전화를 받아요. 큰 목소리, 경상도 억양. 자리를 옮길까 고민하는 사이 그의 이야기가 들려옵니다. 오랜마➚이다. 어어, 집에 가는 길~ 오늘 일찍 마➚칬제. 아이고, 당분간 내리가기 어렵지 않겠➚나. 거도 난리났대➚. 니도 단디해라. 내? 내 그렇지 뭐. 가방 맨드는 거 계속하고 있 ...

[월간소묘: 레터] 12월의 편지 ‘연말정산’

2022-03-11T16:49:30+09:002021-01-3|

  “숲이 그토록 매력적인 것은 계절의 순환에 따라 달라지는 색깔 때문만은 아니다. 똑같은 나무가 어제와 사뭇 달라 보이기도 하고, 같은 날도 시간에 따라 달라 보이기도 한다. (...) 어쩌면 이 모든 경험들이 일종의 정신적인 부엽토가 되어 조용히 내면에 쌓였는지 모른다.” -피오나 스태퍼드 <길고 긴 나무의 삶>   이달은 한 해를 마무리하며 ‘연말정산’ 특집으로 꾸렸습니다. ...

[월간소묘: 레터] 11월의 편지 ‘그 속에는’

2022-03-11T16:49:54+09:002020-12-3|

  일 년 365일 중 300일을 훌쩍 넘기고서 이제 스산한 계절 속에 있습니다. 저마다 시에 가깝다고 여기는 날씨가 있을 텐데, 제게는 이맘때가 그래요. 제 몸을 떨구는 가을 안에서 조용히 빈속을 들여다봅니다. “강도를 높여가는 겨울의 질문”을 만났을 때 “태울 것이”, “재가 될 때까지 들여다볼 것이” 아주 많기를 바라며 ‘겨울의 재료들’을 미리 수집해요.(안희연 <밤이라고 부르는 것들 속에 ...

[월간소묘: 레터] 시월의 편지 ‘herbarium’

2022-03-11T16:50:15+09:002020-11-1|

  “잠든 채 살고 싶다 인생의 부드러운 소음에 둘러싸여”*   잠든 식물들의 장소. 약용식물을 뜻하는 herb와 ~에 관한 물건 혹은 장소를 뜻하는 -arium이 만난 이 단어는 식물표본 그 자체를 가리키기도 하고, 식물지 혹은 식물표본실(관)을 일컫기도 하죠. 아직 국어사전에는 등재된 단어가 아니지만 외래어표기법에 따르면 허베어리엄(혹은 허버리엄, 라틴어를 따른다면 헤르바리움) 정도가 될 ...

[월간소묘: 레터] 9월의 편지 ‘어스름’

2022-03-11T16:50:32+09:002020-10-4|

  “우리 위에 펼쳐진 저물녘 별들의 그물. / 이것이 나를 집으로, 야생의 새들의 집으로 끌어간다. ... / 경험의 가장자리, 영혼의 경계 ...” -뮤리얼 루카이저, ‘ 아우터 뱅크스’ 중에서, <어둠의 속도>   해가 조금씩 짧아지더니 어둠이 빠르게 찾아옵니다. 이제 7시만 되어도 어슴푸레하지요. 24절기 중 9월의 추분은 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그날을 기점으로 밤이 더 길 ...

[월간소묘: 레터] 8월의 편지 ‘빨강’

2022-03-11T16:50:48+09:002020-08-31|

  오래 준비한 비올레타 로피즈의 그림책 <노래하는 꼬리>를 선보이며 빨강에 대해 생각한 날들이에요. 로피즈가 사랑하는 팬톤 컬러 ‘warm red’가 쨍하게 인쇄된 그림을 보면서 왜 빨강일까, 묻고 답하고 또 물어요. 빨간색은 가시광선 중 파장이 가장 긴 빛의 색이죠. 파장波長. 물결의 길이. 그러니까 빨강은 멀리 가는 파도, 천천히 치는 파도. ‘노래하는 꼬리’마냥 지구 한 바퀴를 돌고 ...

[월간소묘: 레터] 7월 ‘편지하는 마음’

2022-03-11T16:51:06+09:002020-07-30|

  A에게마지막으로 편지지를 산 날이 전생처럼 까마득할 무렵 편지 한 통이 도착했지요. 얇은 듯 도톰한, 속 것의 두께가 고스란히 느껴지는 봉투의 삼각 모양 문을 열자 반으로 몸을 접은 마음이 어서 펼쳐보라며 말을 거는 듯했습니다. 나로만 파고들던 마음을 ‘세상 끝에 있는 너에게’로 띄우는 일, 도착한 마음을 펼쳐내는 일, 모두 손끝에서 시작되네요. 이것을 작은 기적이라 할밖에요.7월에, 소묘 &nb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