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산-책] 리브레리아 Q
시월 산-책에 이어 이달에도 온라인 산-책 이야기를 전합니다. 외출에 부쩍 소극적인 인간이 되었네요. 11월에 둘러볼 곳은 오픈 전부터 책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은 용인의 큐레이션 책방 리브레리아 Q. 프리모 레비의 생일인 7월 31일에 문을 연 리브레리아 Q는 여성, 인권, 환경, 생태, 여성 문학 중심의 가정식 책방입니다. 어린이, 청소년 서적과 아름다운 그림책도 함께하고요. 오후의 소묘가 늘 관심을 두는 주제이고, 저희 책을 출간 전부터(?!) 1등으로 주문해주시는 곳이기도 해요.(사..사랑합니다. 사심 가득한 ...
[소소한 산-책] 월간소묘를 좇아-
글 moya 주말에 반나절 정도 나들이 삼아 연희동 연남동을 다녀왔어요. 오후의소묘 레터에서 이달의 커피, 산-책으로 소개되었던 공간을 찾았습니다. 첫번째 편지 '생기' <서점 리스본> 여행 서적의 편집숍으로 혼자 오해하고 있었나봐요. 포르투갈의 풍경을 담은 사진집을 만나고 싶은 마음으로 들렀거든요. 아마 여쭤보면 있었을 수도 있지만, 아이가 고른 '어슬렁의 여행드로잉'만 담았어요. 어슬렁하게 그린 솜씨는 전혀 아니었죠. 삼월의 편지 '질문의 자리' <유어마인드> 귀여움이 가득한 곳. 오후의소 ...
[쓰기살롱 노트] 소묘
글 서우 초가을 아침 공기가 콧속으로 차갑게 들어온다. 옷소매를 여미며 종종걸음 빌딩 안으로 들어선다. 화실에 도착해 빈방의 전기등을 켠다. 청색 앞치마 끈을 둘러매며 넓게 빈 교실을 살펴본다. 아직 아무도 없는 빈 공간. 연필을 열 자루 정도 손에 쉬어 스테인리스 통으로 향한다. 파란색 플라스틱 의자에 앉아 무릎을 단단하게 고정하고 팔꿈치를 얹은 채 자세를 잡는다. 20여 분이 흐르자 엇비슷한 형상의 사람들이 화실을 메우기 시작한다. 그러고는 무심하고 날카롭게 흑심을 감싼 나무껍질을 칼질해 나간다. 특유의 흑연 냄새가 코끝을 ...
[쓰기살롱 노트] 동그라미의 가장자리
글 아련 <현대시인론> 첫 시간, 교수님은 화이트보드에 커다란 동그라미를 그렸다. “이 동그라미가 우리가 사는 세상이라고 생각해봐요.” 그러고는 검은 가장자리의 한쪽을 오돌토돌하게 고쳐 그렸다. “문학은 이렇게 조금씩 동그라미의 가장자리를 넓혀요. 우리는 그런 이야기들을 만날 겁니다.” 바로 그 순간 <현대시인론>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수업이 되었고 나는 문학과 사랑에 빠졌다. 그러나 지금 문학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만난 지 6년째 되던 해 J는 수술을 받게 되었다. J가 대학을 졸업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