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소묘: 레터] 11월의 편지, 작가의 발견
“나무를 보며 계절을 센다. 나무만큼 계절의 변화를 여실히 드러내는 존재가 또 있을까. 마른 나뭇가지를 뚫고 연한 새순이 돋아나면 그것은 사월이다. 비와 햇빛을 번갈아 맞으며 기세 좋게 뻗어나가는 진녹색 잎사귀는 칠월의 다른 이름이다. 그러다 찬바람 불어 그 많던 잎사귀들 죄 떨어지고 나면 나는 어느새 십일월의 한가운데에 서 있는 것이다.” —문이영 <우울이라 쓰지 않고> 길이 낙엽으로 소복한 십일월의 한가운데입니다. 입동도 지나고 기온도 확연히 떨어졌으니 이제 ...
[이치코의 코스묘스] 고양이에게 배운다
이오덕 할아버지, 평생 교사였던 데다 사회적으로 두루 존경받으셨던 터라 선생(님)이란 호칭이 더 알맞겠지만 이제 돌아가신 지도 오래되셨기에 조금 편안한 호칭을 붙여보았습니다. 실제로 저의 할아버지 연배셨기도 하고요. 아무려나, 이오덕 할아버지가 쓰신 <거꾸로 사는 재미>라는 책에는 고양이에 관한 이야기가 (제 기억에 남아 있는 바로는) 두 번 등장해요. 한 번은 “고양이가 방에 들어온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해서 고양이에 관한 세심한 관찰과 그들의 처지를 다룬, 소제목마저 ‘고양이’인 이 ...
[월간소묘: 레터] 마음을 쓰고 계신가요?
“요즘 마음이 어때요?” 나도 글 쓰며 만난 사람들에게 묻는다. 이름, 일상, 기억, 취향. 그런 것들을 차근차근 물어보는 동안에도 내가 당장 궁금한 것은 지금, 이 순간 당신의 마음이다. 그렇지만 마음을 나누는 데에는 시간이 필요하니까. 나에게도 여러 마음을 감당할 시간이 필요하니까. 몇 번쯤 만나 이야기를 나눠보고 나서야 물어본다. 요즘 마음이 어때요? —고수리 <마음 쓰는 밤> 창으로 해가 드는 비행기 안에서 씁니다. 떠나는 밤 비행기에서 독서등에 의지해 ...
[소소한 산-책] 서울, 구산동도서관마을
글: 이치코 출판사에서 일한다고 하면 책을 얼마나 많이 읽느냐는 질문과 종종 만나게 되는데, ‘얼마나’를 가늠하기도 전에 많은 출판인이 손사래를 치며 이렇게 대답하곤 합니다. 아이고, 책 읽을 시간이 어딨어! 말은 그렇게 하지만 책을 만들고 파는 사람들은 책을 많이 읽습니다. 아니, 많이 읽어야만 합니다. 책을 잘 만들기 위해 혹은 많이 팔기 위해 필요한 업무 능력의 밑바닥을 떠받치는 주춧돌이 다독多讀이기 때문이에요. 편집자가 책을 곁에 끼고 살 정도로 많이 읽지 않아도 책 만드는 일 ...
[월간소묘: 레터] 9월의 편지, 함께 해피엔딩
“내가 써나갈 영화관에는 영화를 기다리는 사람이나 팝콘을 사려고 줄을 선 사람은 없을지도 모른다. 대신 이런 이야기는 담을 수 있겠지. 칸에서는 기겁할지도 모를 각양각색의 영화관과, 영화와, 영화라는 꿈에 관한 이야기. 그들 각자가 영화관이 된 사람들의 이야기.” —이미화 <영화관에 가지 않는 날에도> 추석 연휴에 오른 기차 안에서 책 한 권을 읽었어요. 꼭 1년 전인 지난해 9월, 이달의 책으로 소개한 <수어>의 저자 이미화 작가의 신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