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산-책] 월간소묘를 좇아-

글 moya   주말에 반나절 정도 나들이 삼아 연희동 연남동을 다녀왔어요. 오후의소묘 레터에서 이달의 커피, 산-책으로 소개되었던 공간을 찾았습니다.     첫번째 편지 '생기' <서점 리스본> 여행 서적의 편집숍으로 혼자 오해하고 있었나봐요. 포르투갈의 풍경을 담은 사진집을 만나고 싶은 마음으로 들렀거든요. 아마 여쭤보면 있었을 수도 있지만, 아이가 고른 '어슬렁의 여행드로잉'만 담았어요. 어슬렁하게 그린 솜씨는 전혀 아니었죠.   삼월의 편지 '질문의 자리' <유어마인드& ...

[쓰기살롱 노트] 소묘

글 서우   초가을 아침 공기가 콧속으로 차갑게 들어온다. 옷소매를 여미며 종종걸음 빌딩 안으로 들어선다. 화실에 도착해 빈방의 전기등을 켠다. 청색 앞치마 끈을 둘러매며 넓게 빈 교실을 살펴본다. 아직 아무도 없는 빈 공간. 연필을 열 자루 정도 손에 쉬어 스테인리스 통으로 향한다. 파란색 플라스틱 의자에 앉아 무릎을 단단하게 고정하고 팔꿈치를 얹은 채 자세를 잡는다. 20여 분이 흐르자 엇비슷한 형상의 사람들이 화실을 메우기 시작한다. 그러고는 무심하고 날카롭게 흑심을 감싼 나무껍질을 칼질해 ...

[쓰기살롱 노트] 동그라미의 가장자리

글 아련   <현대시인론> 첫 시간, 교수님은 화이트보드에 커다란 동그라미를 그렸다. “이 동그라미가 우리가 사는 세상이라고 생각해봐요.” 그러고는 검은 가장자리의 한쪽을 오돌토돌하게 고쳐 그렸다. “문학은 이렇게 조금씩 동그라미의 가장자리를 넓혀요. 우리는 그런 이야기들을 만날 겁니다.” 바로 그 순간 <현대시인론>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수업이 되었고 나는 문학과 사랑에 빠졌다. 그러나 지금 문학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만난 지 6년째 되던 해 J는 수술을 ...

[이치코의 코스묘스] 길어질 게 뻔한 변명(2)

지난번에는 음악에 관한 이야기를 했어요. 고양이 얘기만 하는 에세이지만,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되었네요. 이번엔 수학 이야기를 할 거예요. 내가 지금 뭘 들은 거지? 라며 당황하실 거란 걸 알아요. 하지만 제대로 들으셨어요. 수학. 산수란 녀석의 형님인데 동생보다 백만 배쯤 괴상하고 난폭한, 그 수학이에요.   미적분이라는 게 있어요. 혹은 있다고 해요. 고등학교 2학년이 되면 이과와 문과로 나뉘는(지금도 그런지는 모르겠네요) 기형적인 교육과 입시제도 탓에 미적분이란 존재의 무서움(?)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