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묘는 아시다시피 ‘작은 고양이’고요. 오후의 소묘에서 고양이 실장을 맡고 있는 이치코의 글을 전합니다. 고양이 얘기만 합니다.
[이치코의 코스묘스] 공감과 교감 사이에 어중간하게(1)
얼마 전, 오랜만에 만난 친구와 얘길 나누다가 오후의 소묘에 관해 설명해야 할 일이 있었어요. 어떤 책을 만들고 있는지, 지금까지 몇 권이 출간되었는지, 책이 어느 정도 팔리는지 등에 대한 간단한 얘기였어요. 친구가 책에, 특히나 그림책엔 별 관심이 없어서 자세하게 설명할 만한 건 없었어요. 그저 대화의 중간에 안부처럼 몇 마디가 오갔을 뿐이고 ‘올해는 에세이 책들도 내보려고 해.’라며 얘기를 마칠 참이었죠. 그런데 친구가 갑자기 ‘에세이’란 단어에 반응을 하더군요. “에세이? 그거 자기 자랑할라고 쓰는 거 아닌가?” 그러게요. 자 ...
[이치코의 코스묘스] 원래 그런 게 어딨나요?
꼬박 열두 달이 지났네요. 작년 2월의 첫 편지 ‘생기’에 실렸던, 오후의 소묘의 로고가 된 히루 사진을 넣은 글을 시작으로 해서 어느새 열두 번째 편지에 담을 이야기까지 왔어요. 연재가 길어지다 보니 도대체 무슨 말을 했던가, 가물거릴 때가 많아졌지만 제 출생의 비밀(?)에 관해 말씀드렸다는 사실은 기억하고 있어요. 저는 말이에요, 어떻게 보자면 식상한 환경에서 태어났어요. 경상도 어느 시골이 고향인 남자이고요, 태어나 보니 증조할아버지도 장남, 할아버지도 장남, 아버지도 장남이었고 저도 장남이었어요. 두 해 뒤에 동생이 태어났는 ...
[이치코의 코스묘스] 길어질 게 뻔한 변명(3)
연년생으로 붙은 모카, 치코, 미노, 오즈에서 일단 멈춤, 그러니까 식구가 더 늘어나지 않았으면 하는 희망이 (적어도 이 글을 쓰고 있는 순간까지는) 깨지지는 않고 있지만 봉산아랫마을의 아이들을 구조하는 일에는 멈춤이 없었어요. 2018년에 오즈를 구조한 뒤 2019년에도 2020년에도 여전히 생명이 위태로운 아이를 길에서 발견하고 구조하는 ‘슈퍼히어로’의 길을 걷고 있어요. 오늘은 그 얘기를 해 볼까 해요. 오랜만에(?) 고양이 얘기네요. 동네 찻길에서 봉산아랫집으로 들어오는 골목 어귀에는 시장이 하나 있어요. 자그마한 규모의 ...
[이치코의 코스묘스] 길어질 게 뻔한 변명(2)
지난번에는 음악에 관한 이야기를 했어요. 고양이 얘기만 하는 에세이지만,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되었네요. 이번엔 수학 이야기를 할 거예요. 내가 지금 뭘 들은 거지? 라며 당황하실 거란 걸 알아요. 하지만 제대로 들으셨어요. 수학. 산수란 녀석의 형님인데 동생보다 백만 배쯤 괴상하고 난폭한, 그 수학이에요. 미적분이라는 게 있어요. 혹은 있다고 해요. 고등학교 2학년이 되면 이과와 문과로 나뉘는(지금도 그런지는 모르겠네요) 기형적인 교육과 입시제도 탓에 미적분이란 존재의 무서움(?)을 직접 체험하지 못한 이들도 많을 테지 ...
[이치코의 코스묘스] 길어질 게 뻔한 변명(1)
고양이 목숨이 아홉 개라는 속담은 참 이상한 말이에요. 왜 그런 말이 생겨났는지 이유를 알 수 없어요. 아홉이라는 숫자, 환생이라는 개념 때문에 동양의 속담처럼 보이지만 실은 서양의 속담이에요. "A cat has nine lives. For three he plays, for three he strays and for the last three he stays.”(고양이는 아홉 번을 산다. 세 번은 놀면서, 세 번은 길을 잃은 채, 세 번은 머물며 산다)라는 오래된 말이 있다고 하고,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에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