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소묘: 레터] 7월의 편지, 촛불을 켜는 밤

    다시 삶 속으로 들어가는 법을 배운다. 내 앞에 찾아오는 것들을 발견하고, 망설이지 않고 따라가고, 함께 더 가보는 것. 그러다 어느 날 느닷없이 무대 위에 올라가게 됐을 때, 내가 할 수 있는 해보는 것. … 문은 열려 있다. 어디로든 갈 수 있을 것이다. _신유진, <레몬 타르트와 홍차와 별들> ‘옮긴이의 말’에서   봄까지 야물게 닫아두었던 문이 여름을 맞자 귀퉁이라도 녹은 것인지 자꾸만 활짝활짝 열리네요. 유월엔 순천을, 칠월엔 익산을 다녀왔습니다. 순천의 책방 탐방기는 ...

[소소한 산-책] 순천의 책방들

마감이란 무엇인가? 마감은 우주를 생성하는 에너지입니다. 또한 세계를 구성하는 입자이기도 합니다. 이 절대적 존재의 압박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는 마감생활자들에겐, 적어도 그렇습니다. 마감이 시작이고 마감이 끝입니다. 마감 없이 만들어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오직 마감만이 최종의 확정을 선고할 수 있습니다. 마감이 사라진다면 모든 예술 역시 사라질지 모릅니다. 마감생활자들은 마감 없는 일상의 홀가분함에 잠깐 취했다가 서서히 굶어 죽어 갈지도 모릅니다. 마감을 해도 마감은 소멸하지 않습니다. ...

[월간소묘: 레터] 6월의 편지, 다시 태어나기를

    저는 사람은 본래 흙으로 만들어졌다고 하는 말이 조금도 과장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렇다면 흙의 마음이 우리의 마음속에 들어와 있는 것도 틀림없다고 봅니다. _김종철,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나희덕, <문명의 바깥으로>에서 재인용>)   도시텃밭은 흙의 다정하고 위대한 만물 농사를 지켜볼 수 있는 귀중한 장소다. 이 소박하고 넉넉한 품에 안겨 흙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기를 나는 꿈꾼다. _유현미, <발은 땅을 디디고 손은 흙을 어루만지며>   출 ...

[소소한 산-책] 고양, 이랑

글: 이치코   마포구가 아주 ㅈㄹ.. 아니 엉망입니다.[*] 지난해 11월 마포구 관내에 있는 작은도서관에 스터디카페를 추가하려다 주민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슬쩍 한발 물러선 일이 있었습니다. 논란이 일자 마포구는 작은도서관을 폐관하는 것이 아니라 기능을 재설계하는 것일 뿐이라며 해명했다지만, 글쎄요. 또한 도서관 예산의 30%를 삭감하라는 요구에 반발하며 이를 공론화(22년 11월)한 마포중앙도서관장을 직위해제(23년 4월)하고 파면(23년 5월)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괄호 안의 날짜를 ...

[월간소묘: 레터] 5월의 편지, 다정한 반복으로

    “매일 무언가를 꾸준히 할 수 있으면 그건 멋진 일이 될 것만 같다.” _이소 <천변일기>   저는 불광천에서 제일 느리게 걷는 사람입니다.(이달 ‘이치코의 코스묘스’에서 이실장이 자기가 “불광천에서 제일 빨리 걷는 사람”이 되었다며 자랑을? 써놓았기에….) 매일 꾸준히 하는 일 중 하나는 출퇴근이고(주 7일…), 운 좋게도 집과 사무실 사이에 불광천이 있어 한여름이 되기 전까지는 천변 걷는 기쁨을 날마다 누립니다. 초록이 올라오고 꽃들이 피어나고 때꾼했던 비둘기들이 매끈해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