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신유진
금발머리 여자가 수술대 위에 누워 있다. 세상에 나오지 못한 아기의 목소리가 들린다. 여자의 모든 결핍에는 아버지의 부재가, 불행의 근원에는 임신중지 수술이 있다. 여자는 현실이 컷 없는 영화 같다고 느낀다. 금발의 여자는 두 개의 이름, 노마 진과 마릴린 먼로 사이에서 갈등한다. 조이스 캐럴 오츠의 《블론드》를 각색한 영화, 〈블론드〉의 이야기이다.
그 영화를 보는 내내 떠오르는 장면이 있었다.
불 꺼진 강당. 하얀 커튼 뒤에서 손전등의 불빛이 움직였다. 손전등을 쥐고 있었던 것은 폴란드 여자애였다. 나는 마리오네트를 들고 손전등의 움직임에 따라 동작을 맞췄다. 우리는 서로 대사를 주고받았다. 불빛은 태어나지 못한 아기를 상징했고, 마리오네트는 아직 엄마가 되지 않은, 어쩌면 영원히 엄마가 되지 않을 여자애였다.
우리는 연극과 학생들이었다. 보수적인 교육을 받으며 자랐고, 현대 연극 수업 조별 실기 평가에서 권태에 시달리거나 화가 날 정도로 천진한 여자들이 나오는 연극이 아닌, 진짜 여성의 텍스트를 무대에 올리길 원했다. 그때 우리에게 진짜 여성의 텍스트란 금기를 깨는 이야기, 여자들이 차마 꺼내지 못한 말을 소리 내 외치는 글이었다. 우리는 조이스 캐럴 오츠의 희곡, 〈나는 발가벗은 채로 네 앞에 있어〉 중에서 임신중지를 다룬 이야기를 골랐다.
우리가 준비했던 공연을 마치자 혹평이 쏟아졌다. 진부했다, 무겁다, 무거운 주제를 너무 무겁게 다뤘다, 대체로 그런 반응들이었다.
“낙태라니… 미안하지만, 이런 주제는 진부하게 느껴집니다. 마치 엄마의 책장에서 먼지 쌓인 68년도 책을 꺼내 보는 느낌이었어요.”
프랑스 여자애가 날카롭게 비평했다. 우리는 애써 미소를 지었지만, 그 비평이 부당하다고 생각했다. 엄마의 책장에서 꺼낸 먼지 쌓인 조이스 캐럴 오츠는 상상할 수 없었으니까. 엄마가 그 작가의 적나라한 언어를 읽는다면 뭐라고 했을까. 성관계의 위험성, 정확히 임신이 얼마나 내 인생을 망칠 수 있는지 가르치려 하지 않았을까. 교수님은 외국인인 우리를 배려해 68년 문화 혁명*을 설명해 줬다. 몇몇 학우들이 ‘부모님 세대’가 읽었던 여성주의 작품들을 말했지만, 그들이 언급한 책 중에 엄마가 읽은 책은 단 한 권도 없었다.
“어머니는 독실한 기독교인이셨어요. 문학을 좋아하셨지만, 어머니가 읽었던 책은 전원의 삶을 다루거나 인간의 욕망을 비판하는 책이었죠. 그중에서도 자유롭게 욕망을 추구한 젊은 여성들은 늘 벌을 받았어요. 임신이라는 벌이었습니다.”
폴란드 여자애의 말에 강당이 조용해졌다. 68년 문화 혁명을 알았거나 몰랐거나, 욕망에 솔직했거나 아니었거나 그 강당에 있던 여자애들 중에 임신을 축복으로 맞이할 수 있었던 사람은 아무도 없었으니까. 피임약 복용을 잊었거나 생리가 늦어질 때, 우리 중 어느 누가 “신이시여, 감사합니다!”라고 외칠 수 있었겠는가! 그날 그 공연의 호불호에 상관없이 거기에 있었던 여자애들은 ‘임신은 벌’이라는 말을 차마 삼키지도 뱉지도 못하고, 떨떠름한 표정으로 강당을 떠났다.
임신은 정말 벌이었을까? 적어도 내게는 그랬던 것 같다. 임신이 나의 자유와 미래를 망친다고 믿었던 이십 대 때부터 임신에 실패했던 삼십 대까지. 나는 사회적 통념 안에서 임신을 원치 않았고, 또 임신하기를 바랐다. 진짜 나 자신을 위한 선택이 무엇인지 알지 못했다. 여성의 몸의 선택지는 늘 두 가지뿐인 것 같았다. 모성을 회피하거나 모성을 위해 존재하거나.
스물다섯 가을, 임신중지를 결정한 친구와 함께 파리 근교에 있는 병원에 갔다. 우리는 영화에서 봤던 끔찍한 장면을 상상했으나 임신중지가 합법인 프랑스에서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어떤 판단도 감정도 드러내지 않는 의사가 친구에게 준 것은 알약 한 알이었고, 친구는 의사가 보는 앞에서 그 약을 삼켰다. 돌아가는 길에 우리는 오랫동안 말이 없었고, 그저 지나가는 사람들만 물끄러미 바라봤다. 이 사람들은 모두 어떻게 자신을 헤치지 않고 잘 살아가는 것일까, 그런 생각을 했던 것 같다.
“교회를 다닐까?”
한동안 입을 다물고 있던 친구가 그렇게 말했을 때 피식 웃었지만, 그때만큼은 나 역시 무언가를 붙잡고 간절히 기도하고 싶었다. 이 미성숙하고 연약한 욕망으로부터 우리를 지켜줄 무언가가 있다면 내게 주어진 반쪽짜리 자유를 망설임 없이 반납하고 싶었다. 우리가 주도적으로 사랑하고, 그러면서도 자신을 지키기 위해서는 무엇을 배웠어야 했을까? 그 시절의 우리를 떠올리면 돌아가 안아주고 싶다. 무엇이 자신을 위험하게 하는지 몰랐던, 자신을 지키는 일이 전쟁 같았던, 사회적 통념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았으나 정작 자기 자신은 몰랐던 나와 나의 여자애들. 알았거나 몰랐거나 말했거나 침묵했거나 적극적이었거나 소극적이었거나 우리는 모두 우리의 몸이 불행의 근원이 되지 않도록 고군분투했으므로.
1974년, 당시 프랑스 보건부 장관이었던 시몬 베유는 국회 연단에 서서 말했다. “임신중절 수술을 즐겁게 받는 여성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이 문제는 그저 여성의 말을 듣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여성에게 낙태는 비극이고 언제나 그러할 것입니다.” 이후 프랑스 임신중지 합법화 법안은 표결을 통해 통과됐다.
마릴린 먼로가 임신중지 수술의 죄책감에 시달리는 장면을 보면서 그때 그 프랑스 여자애의 말을 떠올렸다. 지키지 못한 모성은 죄라는 이 진부한 이야기는 왜 여전히 계속되고 있을까. 왜 여자의 몸은 아직도 타인들이 일으킨 논쟁의 장이 되어야 하는가. 금기를 깨는 것만으로도 나를 흔들었던 그 여성의 텍스트들은 얼마만큼 나아갔을까. 문득 다른 이야기가 듣고 싶어졌다. 노마 진이 사랑을 갈구하는 이야기가 아닌 아낌없이 사랑을 주는 이야기, 마릴린 먼로가 태어나지 못한 아이에 대한 죄책감에 시달리는 이야기가 아닌, 돌봄이 필요한 세상의 모든 생명에게 사랑을 느끼는 이야기. 긴급하고 절박함을 뛰어넘어 자유롭게 비상하는 여성의 이야기. 이제 그런 이야기가 우리에게 와주면 안 될까.
마리오네트였던 여자애는 마침내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질문할 수 있는 나이가 됐다.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나의 욕망을 마주하기까지 내게 필요했던 것은 버지니아 울프, 에이드리언 리치, 리베카 솔닛, 비비언 고닉, 김혜순, 데리언 니 그리파 같은 여성들의 목소리였고, 나는 그들을 통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여성의 텍스트가 무엇인지 조금은 이해하게 됐다. 타인 또는 주변 환경에 의해 자신이 지워지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 글, 자신의 욕망을 마주하고 그것을 분석하며 이해하는 글, 남성 중심적 사회가 부여하는 의미에 의해 삭제되거나 밀려난 것을 복원하고 조명하는 글, 그런 여성의 텍스트들이 없었다면, 나는 여전히 수술대 위에 누운 마릴린 먼로를 바라보며 자궁이 있음을 끔찍하게 여기거나 여성의 모성을 죄책감으로 오해하며 살았을 것이다.
이제 나는 내게 절실했던 여성의 텍스트를 들고 엄마에게 간다. 나의 엄마를, 모성을 다시 배우고 싶다고, 당신을 희생 하나로 축소된 존재가 아닌 건강하고 다양한 욕망을 가진 한 인간으로 마주하고 싶다고 말한다. 그러니 당신도 나와 함께 읽고, 나와 함께 이야기하자고 그 책들을 건넨다. 내가 엄마 안에서 폭발할 것 같은 여성의 에너지를 발견한다면, 그것을 옮길 수 있다면, 금기와 불행과 희생을 뛰어넘은 그다음 이야기를 쓸 수 있지 않을까. 자궁이 축복의 전부이거나 불행의 전부이지 않은 이야기, 모성과 감성, 이성과 야성을 두루 가진 존재의 이야기.
엄마, 당신은 어떤 여성입니까?
이제 엄마, 당신이 대답해 주길. 당신이 자유로움을 느끼는 순간, 오롯이 혼자인 순간, 그때 당신이 느끼는 감정, 누군가와 연대하고 있다는 기분, 당신이 추고 싶은 춤, 당신이 오직 자신만을 위해 부르는 노래. 엄마를 제외한, 아니 엄마를 포함한, 그러나 그보다 더 커다란 엄마의 진짜 이야기.
귀 기울이자. 내가 가장 사랑하는 여자의 이야기가 시작되고 있다. 내가 그토록 기다리던 여성의 텍스트. 단 한 방울의 절망도 섞지 않은 엄마의 이야기.
─✲─
신유진
엄마의 책장 앞을 서성이고, 파리의 오래된 극장을 돌아다니며 언어를 배우고 이야기를 꿈꿨다. 산문집 <창문 너머 어렴풋이>, <몽카페>, <열다섯 번의 낮>과 <열다섯 번의 밤>을 썼고, 아니 에르노의 <세월>, <진정한 장소>를 비롯한 여러 책을 옮겼다.
‘엄마의 책장으로부터’는 2023년 6월부터 2024년 6월까지 [월간소묘 : 레터]에 연재되었습니다. 더 풍성한 이야기들을 모으고 엮어 멀지 않은 때 책으로 찾아뵐게요.
[엄마의 책장으로부터]
건넌방 • 갈망 혹은 비명 • 맨발로 걷는다 • 나와 엄마와 마릴린 먼로 1 • 나와 엄마와 마릴린 먼로 2 • 첫눈 오던 날 • 별거 아닌 것들의 별것 • 사납게 써 내려간 글자들 • “다 그리고 싶어” -사랑을 연습한 시간 • 내가 집이 된 것만 같을 때 • 오렌지빛 하늘 아래 당신의 손을 잡고